백두대간 2구간 코스
여원재에서 중재까지는 도상거리 30킬로미터로 겨울철이 아닌 경우 꽉 찬 1박 2일이면 마칠 수 있다. 그러나 겨울에는 적설량에 따라 2박 3일에서 3박 4일까지 걸리기도 한다. 보통 2박 3일을 잡으면 무리가 없다. 이 구간은 고도감이 느껴지지 않는 평탄한 지형인 반면 길 찾기가 유난히 까다롭다. 그러나 고개가 많아서 식수와 야영지를 찾기는 쉽다. 야영지와 샘터 복성이재에서 중재까지를 제외하곤 물을 쉽게 구할 수 있다. 물을 구할 수 있는 곳은 여원재, 통안재 지나 왼쪽에 있는 사당, 매요리, 88고속도로, 새맥이재 오른쪽 계곡, 복성이재 등이다. 봉화산을 지나 15분쯤 가면 임도가 대간을 넘는데, 오른쪽으로 난 임도를 따라 10분쯤 내려가면 길 가에서 물을 구할 수 있다. 야영지는 여원재, 통안재 지나 사당, 매요리, 새맥이재, 복성이재가 물을 구할 수 있어 좋다. 월경산 오르기 전의 광대치는 야영은 할 수 있지만 물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 길 찾기에 주의할 곳 여원재를 출발, 고남산으로 향하다 장치(561.8m)와 합민성에서 왼쪽으로 빠지는 능선으로 가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특히 2기의 상석 있는 무덤에서 오른쪽으로 90도 꺾인 급경사 내리막길로 가야 대간길이다. 고남산 정상 가기 직전에 있는 작은 암릉은 까다로운 곳은 아니지만 겨울철 눈이 쌓여 있을 경우 조심해야 한다. 고남산을 지나 통안재에서 유치재로 가는 길도 지도 읽기에 신경 써야 할 곳이다. 고남산 중계소에서 도로를 따라 500미터쯤 내려오다 통안재 가기 전에 왼쪽 능선으로 붙어야 한다. 통안재에서 교통호가 파진 곳을 지나면 묘 한 기가 있다. 이곳에서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어 길을 찾아야 한다. 매요리에서 목공소 사이로 올라 618봉을 거쳐 88고속도로와 만나는 사치재(이실재)까지도 애매한 곳이 있다. 618봉은 산사태가 난 것처럼 흙더미가 내려앉은 곳 위에 묘 두 기가 연이어 있어 이정표로 삼을 만하다. 이곳에서 왼쪽으로 방향을 틀어 길을 찾아야 한다. 618봉에서 10분쯤 내려오면 오른쪽으로 밤나무 밭을 횡단하여 길이 이어진다. 697봉에서 새맥이재로 내려오는 구간은 지형이 특이해 대부분의 종주대가 헤매는 구간이다. 697봉을 지나 정북 방향으로 15분쯤 가면 정상에 잘 다듬어진 묘가 한 기 있는 봉우리가 있다. 그 봉우리 가기 50미터 전에 오른쪽으로 뻗어 내린 능선으로 대간이 이어진다. 능선을 따라 5분쯤 내려가면 다시 묘가 한 기 있다. 이곳부터 오른쪽에 있는 능선을 고집해야 한다. 길 찾기가 어려우면 잘 다듬어진 묘가 있는 봉우리 가기 전의 임도를 따라 내려와 새맥이재로 가는 것이 좋다. 시리봉은 왼쪽으로 비껴서 지난다. 781봉에서 아막성으로 내려서는 길도 애매하다. 781봉 정상에는 남근 형상의 바위가 솟아 있고 이곳에서 정북으로 대간이 이어진다. 복성이재로 가는 능선은 둥글넓적하고 잡목이 많은 구간이다. 자칫 오른쪽으로 우회하다 아영면 월산리나 성리 쪽으로 빠질 수 있다. 복성이재부터 봉화산∼월경산까지는 외길이라 길 잃을 염려는 없다. 월경산에서 중재로 내려서는 길도 독도에 유의해야 한다. 월경산은 오르지 않고 왼쪽으로 비껴서 지나며 이후부터는 줄곧 왼쪽 능선만 고집해야 한다. 월경산에서 작은 바위봉우리 몇 개를 우회해 15분쯤 내려서면 오른쪽 운산리 중재마을로 뻗어나간 지릉이 뚜렷해 자칫 잘못 들 수도 있다. 왼편에 주의를 기울이면 가파른 비탈 아래로 대간이 이어진다. 교 통 날머리인 중재에서는 함양군 운산리로 하산, 함양읍에서 서울, 부산, 대구, 진주, 마산, 울산 대전 등 대도시로 가는 버스편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운산리 중재마을에서 함양읍으로 나가는 버스는 하루 두 번 밖에 없으며 눈이 많이 내린 경우 다니지 않는다. 중재마을에서 30분 거리에 있는 운산리 하신에서는 함양 가는 시내버스가 1시간 간격으로 다닌다.
|
■ 고남산(高南山 846.4m)-남원시 산동면/운봉읍
산행코스 • 권포리→(2.5km)→고남산→(5.4km)→여원치→주지봉→(4.8km)→수정봉→(1.9km)→가재(14.6km, 6시간)
• 여원재→고남산→시멘트길→통안재→유치재→매요리(10km, 4시간 30분)
• 권포리→시멘트도로→송신탑→정상→안부→청덕암→부절리→산동면(9.5km, 4시간 10분)
• 고남산→여원치→(1.5km)→주지산→(3.8km)→수정봉→(1km)→덕운봉→(3km)→구룡폭포→(2.8km)→육모정(12.1km, 5시간 40분)
제1코스 : 종주코스 [여원재-정상-중계소-시멘트 도로-통안재-유치재-매요리/4시간30분/10km]
제2코스 : 종주코스 [권포리-시멘트 도로-중계소-정상-안부-창덕암-부절리-산동면/4시간10분/9.5km]
제3코스 : 원점회귀코스 [권포리-시멘트 도로-중계소-정상-중계소-권포리/1시간40분]
교통정보
• 호남고속도로 전주 나들목→전주 동부우회도로→19번 국도→남원→24번 국도→여원치→운봉/88고속도로 남원 나들목→24번 국도→남원→여원치→60번 국지도→가재
• 남원→운봉(권포리) 군내버스 6회 운행.
• 남원→산동→장수 직행 및 군내버스 수시 운행.
• 쌍치하늘농장(김순복 063 626-8488), 운봉흙돼지전문점(정분례·634-3004)에서 삼겹살을 저렴하게 맛 볼 수 있다.
• 호림산장(조래정·626-9339), 송림산장(김예분·625-3689)에서 토종 닭 요리를 저렴하게 시식할 수 있다.
■ 봉화산 [烽火山 920m] -전북 남원 장수 함양
'◈ 백두대간[白頭大幹] > •─‥•백두대간 등산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5구간 (소사고개~대덕산~질매재) (0) | 2011.11.12 |
---|---|
백두대간 4구간 (육십령~남덕유산~삼봉산~소사고개) (0) | 2011.11.06 |
백두대간 3구간(중재~백운산~육십령) (0) | 2011.11.06 |
백두대간 1구간(중산리~천황봉~노고단~성삼재~여원재) (0) | 2011.01.04 |
백두대간 종주및 코스안내 (0) | 2011.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