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사진여행 자세히보기

◈ 국 내 ........../•─‥• 도 립 공 원

문경새재도립공원

늘푸른풍경 2013. 7. 4. 15:17

경북문경-문경새재도립공원 (주흘산 영봉 1,106m)

 

언 제 : 2013년 07월 01일(월)

날 씨 : 맑음      ○. 최저: 20.6℃   최고: 30.8℃

▩ 코 스 : 주차장→제1관문여궁폭포혜국사주봉영봉부봉삼거리부봉1~5봉→제2관문(조곡관)→제1관문(주흘관)주차장 (14.8km  약 13시간)

 

주흘산 [主屹山]  높이는 1,106m이다. 소백산맥의 주봉으로서 북동쪽의 소백산(1,440m)ㆍ문수봉(文繡峰, 1,162m), 남쪽의 속리산(1,058m)ㆍ황학산(黃鶴山, 1,111m)과 함께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도계를 이룬다. 이 곳은 자연경관이 빼어나고 유서 깊은 유적과 설화·민요 등으로 이름 높은 곳이다.

 

 

 

 

 

 

 

 

 

새재 옛길박물관

 

 

 

 

 

 

 

주흘관(主屹關)-영남제1관(嶺南第1關)

남쪽의 적을 막기 위하여 숙종 34년(1708)에 설관 하였으며 영남 제1관 또는 주흘관이라고 한다. 정면 3칸(間)과 측면 2칸 협문 2개가 있고 팔작(八作)지붕이며 홍예문은 높이가 3.6m, 폭 3.4m, 길이 5.4m이며 대문의 높이는 3.6m, 폭 3.56m, 두께 11㎝이다. 좌우의 석성은 높이 4.5m, 폭 3.4m, 길이 188m이고, 부속 성벽은 높이가 1~3m, 폭 2~4m이다. 길이는 동측이 500m, 서측이 400m로 개울물을 흘러 보내는 수구문이 있으며 3개의 관문 중 옛 모습을 가장 잘 지니고 있다.

 

 

 

 

 

 

 

 

 

 

 

 

 

▲▼ 문경새재 여궁폭포: 경상북도 문경군 문경새재에 자리한 폭포. 옛날 7선녀가 구름을 타고와 여기서 목욕을 했다는 곳으로 밑에서 쳐다보면 마치 형상이 여인의 하반신과 같다하여 여궁 또는 여심폭포라 불려짐. 수정같이 맑은 물이 노송, 기암절벽과 어우러져 수려함을 자랑함. (자료,한국학중앙연구원)

 

 

 

 

 

 

 

 

 

 

 

 

 

 

 

 

 

 

 

 

 

 

 

 

 

 

 

 

 

 

 

 

 

 

 

 

 

 

 

 

 

 

 

 

 

 

△▽ 주흘산을 가면 정상이 주봉인지 영봉인지 헷갈린다는 사람들이 많다. 주봉 표지석에는 "주흘산"이라고 표시되어 있고, 영봉 표지석에는 "주흘영봉"이라 표시되어 있을 뿐아니라, 주봉은 주위경관과 전망이 뛰어나고 영봉은 봉우리 같지도 않으며 지나치는 등산로 같고 조망도 없기 때문이다.

 

 

 

 

 

 

 

 

 

 

△▽ 이전에는 주봉을 주흘산의 정상으로 여겨왔다. 주봉과 최고봉 개념의 혼돈으로 영봉을 정상이라고 하지만 정상은 주봉, 최고봉은 영봉이라 해도 무리는 아니다.

 

 

 

 

 

 

 

 

 

 

 

 

 

 

 

 

 

 

 

 

 

 

 

 

 

 

 

 

 

 

 

 

 

 

 

 

 

▲▼ 부봉을 지나면 산너머 산 부봉(제1봉~제6봉)까지 힘든 코스이다. 벌써 몸은 지칠대로 지쳐 고갈상태다. 그래도 꽃은 구경하고 가야지...

 

 

 

 

 

 

 

 

 

 

 

 

 

 

 

 

 

 

 

 

 

 

 

 

▲▼ 부봉6봉은 몸이 지쳐 도저히 산행 할 수가 없다. 어두워지기전에 하산 하자고 서두른다.

 

 

 

 

 

 

 

▲▼ 드디어 제2관문에 도착 하였다. 헐! 그런데 주차장까지 4km가 넘는다. 아이고~

 

 

 

조곡관(鳥谷關)-영남제2관(嶺南第2關)

선조 27년(1594)에 충주인 신충원이 축성한 곳으로 중성(中城) 이라고도 한다. 숙종조에 관방을 설치할 때 옛 성을 개축하였으나 관(關)은 영성(嶺城 : 3관문)과 초곡성(草谷城 : 1관문)에만 설치하고 이곳에는 조동문(鳥東門) 또는 주서문(主西門)을 설치하였다. 그후 1907년에 훼손되어 1975년에 복원하였다. 이렇게 복원한 문루를 옛 이름 조동문(鳥東門)이라 하지 않고 조곡관(鳥谷關)이라 개칭하였다. 누각은 정면이 3칸 측면 2칸이며 좌우에 협문이 2개 있고, 팔작(八作)지붕이다. 홍예문은 높이가 3.6m, 길이 5.8m이다. 대문의 높이는 3.6m, 폭 3.56m, 두께 11㎝이다. 좌우의 석성 높이는 4.5m, 폭 3.3m, 길이 73m이고, 좌우의 성벽의 높이는 2m, 폭 2~3m, 길이는 동측이 400m, 서측이 100m이다.

 

 

 

▲▼ 조곡폭포

 

 

 

 

 

 

 

 

 

 

 

 

 

 

 

 

 

※ 주차장에 도착하니 주위가 어두워진다.

 

'◈ 국 내 .......... > •─‥• 도 립 공 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한산성도립공원의 겨울  (0) 2013.12.22
대둔산도립공원 가을  (0) 2013.10.29
남한산성도립공원   (0) 2012.12.06
연인산도립공원을 품다  (0) 2012.06.06
대둔산도립공원   (0) 2010.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