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사진여행 자세히보기

◈ 국 내 ........../•─‥• 도 립 공 원

남한산성도립공원

늘푸른풍경 2012. 12. 6. 11:48

▲ 경기도-남한산성도립공원

 

언 제 : 2012년 12월 3일(월)

날 씨 : 흐림/눈       ○. 최저: 0.2℃    최고: 5℃

▩ 코 스 : 남문주차장→남문→서문→연주봉음성→북문→남문주차장

 

남한산성 성곽은 기본적으로 원성과 외성으로 구분된다. 원성은 인조 2년(1624)에 수축한 남한산성의 영역으로서 하나의 폐곡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본성을 의미한다. 이외에 외성으로는 동쪽에 봉암성과 한봉성이 있고, 남쪽에 신남성이 있는데 이곳에는 동·서 두 개의 돈대가 구축되어 있다. 지금까지 남한산성의 규모와 면적에는 많은 이론이 있었다. 『광주군지』에는 8km 정도라고 기술되어 있으며 1 : 5,000 지형도를 기본으로 한 GIS측정 결과 산성의 둘레는 옹성을 포함하여 10,841.5m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남한산성에 대한 정확한 측량이 한번도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남한지』에서는 성벽 안 둘레는 6,290보로 17리반이고, 바깥 둘레는 7,295보로 20리 95보이며, 성가퀴는 1,940타이고, 5옹성과, 16개의 암문, 125개소의 군포, 4개소의 장대가 있다고 하였다. 안 둘레는 7,853.6m이고, 바깥둘레는 9,108.5m이다. 그런데 최근 토지박물관에서 지표조사를 실시하면서 정밀 측량을 한 결과 남한산성의 전체 규모는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것 보다 훨씬 큰 것으로 밝혀졌다. 

 

 

 

 

▲ 남문 주차장

 

▲ ▼ 지화문(남문)

남문은 정조 3년(1779) 성곽을 개보수할 때 개축하여 지화문(至和門)으로 칭하였으며 남문은 4대문 중 유일하게 현판이 남아 있는 문이다. 병자호란으로 인조가 처음 남한산성에 들어 올 때에도 이 문을 통해서 들어 왔다고 한다.

 

 

 

 

 

 

 

 

 

 

 

 

 

 

 

 

제6암문

 

 

▲ 우익문(서문)

서문은 산성의 초축시기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정조 3년(1799) 개축하여 우익문(右翼門)이라 칭하였다.

 

 

 

 

 

 

 

 

 

 

 

 

 

 

 

 

 

 

 

 

 

 

 

 

 

▲ ▼ 전승문(북문)

북문은 인조2년(1624)에 신축된 성문이라고 생각된다. 정조 3년(1779) 성곽을 개보수할 때 개축하고 이름을 붙여 전승문(戰勝門)이라 칭하였다.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면서 비와 눈까지 내린 관계로 1코스 탐방로로 끝이났다.


'◈ 국 내 .......... > •─‥• 도 립 공 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한산성도립공원의 겨울  (0) 2013.12.22
대둔산도립공원 가을  (0) 2013.10.29
문경새재도립공원   (0) 2013.07.04
연인산도립공원을 품다  (0) 2012.06.06
대둔산도립공원   (0) 2010.08.16